가구냄새의 주범, 포름알데히드 제거하기

가구를 사러 갔을 때시큼한 냄새와 함께눈이 시리고 따가웠던 경험을

한 적이 있을 것이다. 이런 현상들은 목재가구 소재인합판, 원목 등을가공할 때

많은 양의접착제와 방부제를사용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적은 양이라도

공기 중에 발산되면 유독가스가 되어의욕저하,불면증,아토피,천식을 일으키며

유전인자를 변화시킬 정도로 위험한 물질이다.


접착제를 조심하라

새 가구 증후군은 가구 소재의 '겉과 속이 다르기 때문에 생긴다.

통나무를 깎고 다듬어 만든 '원목'가구가 아니라면 대부분 합판 위에

무늬목 등 표면재를 붙인 자재가 가구 제작에 쓰인다.

이때 겉과 속을 붙이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가 유해물질을 내뿜는다.

특히 방부제로 사용하는 붕산염은 눈을 자극하고 생식능력을 떨어뜨린다.

천연가죽 소파 또한 가공과정에서가죽 방부제,염색약,접착제등

각종 화학물질을 쓰고, 합성가죽은 플라스틱 소재를 부드럽게 하기 위해

가소제에 환경호르몬 의혹 물질로 밝혀진프탈산 부틸벤젠을 쓴다.


플라스틱 가구들은 실내온도가 올라가면 환경호르몬을 계속해서 발생시키며,

플라스틱 종류에 따라 보통알레르기, 호흡곤란, 소화불량, 코와 입 점막의 건조,

무감각, 만성 기관지염을 일으킨다.

가구 등급... ℓ당 포름알데히드 방출량


대량 생산되는 가구는 대부분 합판으로 만들어진다.

원목은 공급량이 달릴 뿐 아니라 가격도 비싸다.

합판은 나무 가루나조각에 접착제를 섞어 단단하게 압축한 것이다.


이때 쓰이는나무 재료나 접착제의 양이 유해물질 방출량을 결정한다.

대부분의 소비자는 가구 재료에 등급이 매겨져 있다는 것을 잘 모른다.

가구 재료는 ℓ당 포름알데히드가 얼마나 방출되느냐에 따라E0(0.3~0.5㎎),

E1(0.5~1.5㎎),E2(1.5㎎ 이상)등으로 나뉜다.

방출량이 0.3㎎ 미만이면 수퍼 E0 등급으로 분류된다.

E0급이 쓰인 가구는 친환경 가구로 볼 수 있다.한국에선 E1 이상의 자재를

쓰면 KS 인증을 받을 수 있다.일본은 E0급만 친환경 자재로 인정한다.

직접 보고 냄새를 맡아라


최근 인터넷이나 홈쇼핑으로 가구를 사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가구의 디자인.색깔은 잘 비교할 수 있다. 하지만 가구를 만져 보거나

냄새를 맡아볼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눈으로만 보면 나무로 만든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만져 보면

비닐로 겉을 감싼 가구가 꽤 있다.


폴리비닐수지(PVC)는 다양한 무늬와 색깔을 표현할 수 있고 값이 싸

가구 표면재로 많이 쓰인다. 하지만유럽과 일본에선 이의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

소파 생산에 많이 쓰이는가죽도 지독한 냄새가 난다.

소비자보호원의 실험 결과합성 가죽으로 만든 소파에선 천연 가죽보다

최대 네 배 정도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배출됐다.

가죽이 두꺼울수록 유해물질 방출량이 더 많았다.

소비자보호원 생활안전팀의 박미희 차장은 "가구는 직접 매장에 가서

냄새를 맡고 만져 보면서 고르는 게 안전하다"며 "어떤 자재를 사용했는지,

환경마크를 받은 제품인지 등을 따져 보라"고 조언했다.

새 가구 들인 뒤엔 자주 환기

한국소비자보호원에 따르면소비자 10명 중 4명이 이런 새 가구 증후군을

경험했다. 가구를 만드는 데 쓰이는 합판이나 접착제에서휘발성 유기화합물,

포름알데히드등 유해물질이 나오기 때문이다.


가구를 샀는데 냄새가 나고 눈이 따가워지는 등 새 가구 증후군을

느낀다면 우선환기를 자주 해야 한다.

냄새가 너무 심하다면 시중에 나와 있는새집증후군제거제(아토세이프)를

사용해 볼 만하다.포름알데히드와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흡착분해 제거한다.

Posted by 성희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