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2. 25. 16:38

유선염


유선염은 유방이 세균에 감염이 되어 유관이 막힘으로써 젖이 유선속에 쌓여 유방이 빨갛게 붓고 딱딱하게 뭉쳐지면서
아파오는 증상이다. 몸에 한기와 열이 나면서 옆구리 밑의 임파선이 붓기도 한다.

젖이 불어 있는 경우에는 아기에게 젖을 먹이거나 착유기로 젖을 짜내어 젖을 없애주는게 중요한다. 젖이 곪아서 고름
섞인 젖이 나오면 적을 먹이지 말고 항생 물질을 투여하거나 수술로 염증을 제거하여야 한다.

한방요법은 유선염에 유효하지만 화농한 것은 한방요법에만 의지하지 말고 항생물질 요법과 병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일상생활에서의 주의>

젖이 잘 나오지 않을 때는 아기에게 젖을 주기 전에 유방을 스팀 타올로 몇 분간 습포를 해주어 유방을 따뜻하게 한 다음 젖꼭지를 맛사지하면 잘 나온다. 다만 유선염에 걸린 경우에는 젖을 맛사지 하지 말고 브래지어를 하고 유방을 안정시켜야 한다. 유방의 상태에 대해 항상 주의하여 아프거나 부으면 바로 치료를 받아야한다.



<민간요법>



-  밤: 생밤을 갈아 으깨어 유방에 바른다.
-  팥: 가루 낸 팥에 초를 쳐서 뭉친 다음에 가제에 발라 유방을 싼다.
-  치자: 생과의 즙을 유방에 바른다.
-  고삼: 고삼의 뿌리를 달인 액으로 유방을 온습포한다.


-  젖이 나오지 않을 경우에는 쑥찜질을 하자.

쑥을 끓는 물에 잠시 데쳐서 그것으로 유방을 따뜻하게 덮어 주면 되는데 출산 후 3일째 되는 날부터 7일 이내에 실시하면 효과가 좋다


-  모유를 잘 나오게 하는 방법

초산일 경우에는 젖이 잘 나오지 않아서 엄마와 아기가 고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찹쌀떡과 팥밥, 잉어를 먹으면 젖이 많이 나오게 된다.

'민간요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궁근종  (0) 2012.02.26
자궁 내막염  (0) 2012.02.26
불임증  (0) 2012.02.25
하혈  (0) 2012.02.25
냉증  (0) 2012.02.25
Posted by 성희짱